4X4기술정보

갤로퍼 기술정보

회로도를 보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정현우 작성일03-01-19 04:56 조회700회 댓글1건

본문

제차에는 코너링램프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코너링램프를 달려면 여기에 사용되는 선을 모두 짤라서 재조합해야하기 때문에 회로도를 정확하게 이해해야 합니다.





회로도를 다시 보았습니다.

5,7,8번핀에서 8번핀이 플레셔유니트 전원공급선이고,

이곳에 전원공급 방법의 차이인것 같습니다.





제 방법은 플레셔 유니트에 직접 전원을 공급했구요,

5번핀에 6번선의 on/start전원,

7번핀에 20번선의 상시전원,

8번핀에 21번선의 플레셔유니트 전원공급선 연결...

평상시에 8번핀과 5번핀이 연결되어 플레셔유니트에

on/start전원공급

비상등 켰을 때는 8번핀과 7번핀이 연결되어 플레셔유니트에

상시전원공급

님 방법은 기존의 비상등 스위치를 거쳐서 전원이 공급되고 있네요.

평상시에는 5번핀과 8번핀이 연결.(순정상태)

비상등 켰을 때

20번선의 상시전원이 7번핀에 연결되고

7번핀에서 8번핀으로 연결

8번핀에서 6번선을 따라 기존의 비상등스위치를 거쳐

21번 플레셔유니트에 전원이 공급....

어쨋든, 21번선을 통해서 플레셔 유니트에 전원이 공급되어 비상등은 작동합니다.





그리고, 갤로퍼는 구형, 신형상관없이 같은 회로도를 씁니다.

99년 구입한 갤로퍼 정비지침서에 의하면 처음부터 출고, 96년 1월이후 출고, 97년 2월이후 출고, v6 lpg이렇게 전장계통회로도를 나누고 있습니다. 그런데, 비상등 회로도를 보면 모두 똑같습니다. 핀번호만 다를뿐입니다. 님께서 올리신 회로도는 처음부터 95년 12월까지 적용된 회로도같네요.





플레셔유니트에 전원공급시 6번선(on/start)을 자르는 이유

.....모르시는 분이 계실것 같아서....



브릿지하지않고 모든선을 잘라서 연결하면 기존의 비상등 스위치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존의 비상등 스위치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브릿지를 합니다.

그런데, on/start전원선은 잘라서 연결합니다. 이 선도 브릿지할 경우 비상등을 켰을 때, 상시전원이 on/start전원선을 타고 흘러 키꼽고 시동키를 on상태로 돌렸을 때처럼 됩니다. 계기판에 불 다들어오고, 예열도 되고....99년 처음 작업할 때, 브릿지했다가, 출고한지 몇달 안된 차 불나는줄 알고 얼마나 놀랐던지.....





최종목적은 코너링램프 장착과 비상등 스위치 ?ケ瘦藪눼쨉